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윤석열 계엄 선포부터 파면, 조기 대선 일정까지 한눈에 총정리

by 인포스타그램 2025. 4. 4.

이미지 출처 - 나무위키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의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국가적 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탄핵 소추와 파면, 그리고 조기 대선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

1. 비상계엄 선포와 그 배경

2024년 12월 3일 오후 10시 27분,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하였습니다. 그는 "종북 반국가 세력들을 일거에 척결하고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계엄령을 발동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국가 안보와 헌정 질서 수호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이를 위헌적 행위로 강하게 반발하였습니다.

📌 주요 사건 일지

  • 12월 3일 22:27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 12월 3일 22:30 – 계엄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 청사 진입
  • 12월 4일 01:02 –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 12월 4일 04:30 – 윤석열 대통령, 계엄 해제 선언

계엄령은 선포된 지 약 6시간 만에 국회의 해제 요구와 대통령의 수용으로 종료되었습니다.

2. 탄핵 소추와 대통령 직무 정지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반발로, 국회는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였습니다.

📌 탄핵 소추 과정

  • 12월 7일 – 1차 탄핵소추안이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투표 불성립
  • 12월 14일 – 2차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 (찬성 204표,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
  • 12월 14일 – 탄핵소추안 헌법재판소 접수

탄핵소추안 가결로 인해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는 즉시 정지되었으며,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습니다.

3. 헌법재판소 심판과 파면 결정

헌법재판소는 탄핵소추안에 대한 심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습니다.

📌 심판 과정

  • 12월 27일 – 첫 변론준비기일 개최
  • 2025년 3월 25일 – 총 11차례의 변론 진행 완료
  • 4월 4일 11:22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전원 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

헌재는 윤 대통령의 법 위반 행위가 헌법 질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였습니다.

4. 조기 대선 일정과 정치권의 대응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되면서, 대한민국은 헌법 제68조 제2항 및 공직선거법 제35조에 따라 60일 이내에 새 대통령을 선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기 대선은 2025년 6월 3일(화요일)로 예정되었으며, 관련 일정과 정치권의 움직임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 공식 대선 일정

  • 파면일: 2025년 4월 4일
  • 대선일: 2025년 6월 3일
  • 사전투표: 2025년 5월 29일 ~ 30일
  • 후보자 등록일: 2025년 5월 10일 ~ 11일
  • 공식 선거운동 시작일: 2025년 5월 12일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당시와 동일하게 법적 기한을 최대한 활용한 일정으로, 안정적인 선거 준비 기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권한대행의 역할과 선거 공고

헌재의 파면 결정 이후, 한덕수 국무총리는 대통령 권한대행의 지위에서 선거일을 공고할 책임을 지게 됩니다. 공직선거법상 열흘 이내에 선거일을 공식 공표해야 하며, 과거에도 황교안 총리는 파면 후 5일 만에 대선일을 공고한 바 있습니다.

📌 여야 정치권의 대응과 대선 구도

🔷 야권 (더불어민주당 등)

  • 유력 후보: 이재명 대표 (출마 예정)
  • 기타 후보군: 김동연, 김부겸, 김경수, 김영록, 김두관, 전재수 등

🔶 여권 (국민의힘 및 보수 진영)

  • 후보군: 김문수, 오세훈, 한동훈, 유승민, 나경원 등

국민의 관심과 참여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치러질 조기 대선은 국민적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이며,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기대와 의지가 투표율로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2024년 12월 3일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2025년 4월 4일의 대통령 파면, 그리고 6월 3일 예정된 조기 대선까지, 이번 사태는 대한민국 헌정사에 큰 획을 그은 사건입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은 단지 헌정 질서의 위기를 넘긴 것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 참여와 제도적 견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상기시켜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이 경험이 보다 성숙한 민주주의와 건강한 정치 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 관련 콘텐츠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

 

역대 대통령 탄핵 사례 총정리|왜 탄핵됐나? 사유와 절차까지 한눈에

 

역대 대통령 탄핵 사례 총정리|왜 탄핵됐나? 사유와 절차까지 한눈에

대한민국의 헌정사에서 대통령 탄핵은 단순한 정치 이벤트를 넘어 국가적 비상사태로 간주되며, 그 절차와 사유는 국민적 관심사이자 역사적 기록으로 남습니다. 특히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

infostagr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