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권자, 유학생, 주재원 대상 재외선거 완벽 가이드
2025년 6월 3일,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제22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집니다.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인 국민도 투표할 수 있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시죠? 바로 재외선거 제도 덕분인데요.
하지만 영주권자나 유학생, 주재원처럼 체류 상황에 따라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 헷갈리기 쉽습니다. 특히 주민등록이 유지된 영주권자는 어디에 해당하는지 혼란스러워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그래서 재외선거의 참여 조건부터 신청 방법, 대상자별 사례, 주민등록 기준별 정리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꼭 끝까지 읽어보시고 해외에서도 투표권 행사하시길요!
재외선거란?
재외선거란, 대한민국 국민이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일 때도 국내에서 실시되는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대상은 해외 체류 중인 대한민국 국민이지만, 주민등록 상태에 따라 참여 방식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대상자 유형 2가지
1. 국외부재자
- 대한민국에 주민등록이 유지된 국민
- 선거 기간 동안 국외에 체류 예정인 사람
- 예: 유학생, 주재원, 출장자, 영주권자(주민등록 유지 시)
- → 국외부재자 신고 필요
2. 재외선거인
- 대한민국 국적은 있지만 주민등록이 말소된 사람
- 국내 주소가 전혀 없고, 영구 해외 정착
- 예: 영주권자(주민등록 말소 시)
- →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 필요
영주권자는 주민등록을 말소해야 할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주민등록 유지 여부만으로 ‘국외부재자’ 또는 ‘재외선거인’이 결정됩니다.
영주권자 유형 | 주민등록 상태 | 참여 방법 |
---|---|---|
영주권자 + 주민등록 유지 | ✅ 있음 | 국외부재자 신고 |
영주권자 + 주민등록 말소 | ❌ 없음 |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 |
2025년 재외선거 일정
-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 2024.02.11 ~ 2025.04.24
- 국외부재자 신고: 2025.04.04 ~ 2025.04.24
- 재외투표 기간: 2025.05.20 ~ 2025.05.25 (해외 공관에서 6일 이내로 운영. 해외 공관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일정은 해당 공관에 문의하시는게 정확해요!)
- 본 선거일 (국내): 2025.06.03 (수요일)
신고·등록 기한을 넘기면 투표 불가! 반드시 기한 내 신청해야 합니다.
재외선거인/국외부재자 신청 및 신고 방법
온라인 신청
신청후 결과 보기
오프라인 신청
인근 대사관/총영사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신청서를 작성 후 이메일 또는 우편으로 제출 가능합니다.
대상자별 참여 예시
- 미국 유학생 (국외부재자): 주민등록 유지, 미국 체류 중 → 국외부재자 신고 후 투표
- 싱가포르 주재원 (국외부재자): 국내 주소 유지 → 국외부재자 신고 후 현지 투표
- 캐나다 영주권자 (재외선거인): 주민등록 말소 → 재외선거인 등록 신청
- 미국 영주권자 (국외부재자): 주민등록 유지 → 국외부재자 신고 후 현지 투표
투표 시 준비물
구분 | 필요 서류 |
---|---|
국외부재자 | 여권 또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 |
재외선거인 | 신분증 + 국적 확인 가능 서류(영주권 사본 등) |
한눈에 보는 핵심 정리
- 주민등록 유지 여부가 기준
- 영주권자라도 주민등록이 있으면 ‘국외부재자 신고’ 대상
- 모든 신청은 2025년 4월 24일이 마감
- 온라인 신청이 가장 빠르고 간편
2025년 재외선거, 해외에 있어도 꼭 투표하세요
2025년 제22대 대통령선거는 우리 모두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이더라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반드시 투표에 참여할 권리가 있으며, 그 권리는 재외선거 제도를 통해 보장됩니다. 영주권자든 유학생이든, 주재원이든 관계없이 주민등록 상태에 따라 신고 유형만 정확히 파악하면 참여는 어렵지 않으니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한 표, 잊지 말고 행사하세요.
지금 바로 재외선거 등록 또는 국외부재자 신고 일정을 확인하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조기 대선, 대통령 궐위 뜻부터 일정까지 총정리
2025년 조기 대선, 대통령 궐위 뜻부터 일정까지 총정리
2025년 6월 3일, 대한민국은 제21대 대통령을 선출합니다. 하지만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기 선거가 아닙니다. 바로 '대통령 궐위'에 따른 조기 대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대통령 궐위’란
infostagram.com
역대 대통령 탄핵 사례 총정리|왜 탄핵됐나? 사유와 절차까지 한눈에
역대 대통령 탄핵 사례 총정리|왜 탄핵됐나? 사유와 절차까지 한눈에
대한민국의 헌정사에서 대통령 탄핵은 단순한 정치 이벤트를 넘어 국가적 비상사태로 간주되며, 그 절차와 사유는 국민적 관심사이자 역사적 기록으로 남습니다. 특히 2025년 4월 4일, 윤석열 대
infostagram.com
윤석열 계엄 선포부터 파면, 조기 대선 일정까지 한눈에 총정리
윤석열 계엄 선포부터 파면, 조기 대선 일정까지 한눈에 총정리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의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국가적 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탄핵 소추와 파면, 그리고 조기 대선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정리하
infostagram.com